HomeEconomyTYM 투자포인트: 국제종합기계 인수와 성장이 동행하는 폭발적 외형 성장

TYM 투자포인트: 국제종합기계 인수와 성장이 동행하는 폭발적 외형 성장

TYM은 2022년 점유율 4위 업체를 인수하며 큰 폭의 매출액, 영업이익 증가가 예상된다. 하지만 2022F 기준 PER 4.9배다. 2022년 예상실적 기준 점유율 1위 업체 대비 매출액 격차 축소, 영업이익 초과달성 예정임을 감안시 TYM의 밸류에이션 재평가는 시간문제라 판단한다. 또한 2022년부터 출시 될 신규 자율 주행트랙터 라인업 또한 신규 매출원으로서 성장을 이끌 전망이다.

국제종합기계 인수와 유기적성장이 이뤄내는 폭발적 외형성장

2022년부터 국제종합기계(KM) 100% 인수를 통한 매출액 증가 및 비용절감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며, 증가하는 트랙터 누적판매 대수 기반 매출다각화 또한 예상된다. TYM은 2016년 국제종합기계(KM) 부분인수 이후 2021년 8 월 나머지 지분을 직접 취득하며 100% 자회사로 편입하였다. 이에 따라 2022년 부터 KM에서 발생하는 실적이 TYM에 1분기부터 온기로 반영될 전망이다(KM 연결조정 전 매출액 2021년 3,902억원 → 2022년 5,979억원 예상).

IBISWorld에 따르면 해외 주요 수출지역인 북미 농업용 트랙터 시장은 1) 미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2) 소규모 농업 및 정원 관리용 중소형트랙터 시장 성장, 3) 농산품 가격의 점진적 상승에 따라 5년간 연평균 약 4.7% 성장하여 2025년에는 356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최근 지정학적 이슈에 따라 농산품 가격이 급등하며 농업계 전반적으로 트랙터 구매 수요 또한 동반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업체들은 가격경쟁력과 자동화기술을 기반으로 시장 침투율을 높여나가고 있다.

TYM은 국제종합기계 인수를 통해 TYM(트랙터), KM(트랙터, 엔진 등), GMT(작업기-트랙터 부착 부속품), TYMICT(자율주행 및 텔레매틱스) 제품 생 산 수직계열화를 완성시켰다. 또한 KM의 국내 및 북미 영업망 공유 등을 통한 비용절감 효과 또한 예상된다. KM 완전 인수를 통해 수익성 개선과 판매채널 다 각화 효과를 동시에 누릴 전망이다.

TYM의 연간 트랙터 판매 대수는 2021년 기준 33,000대에서 2022년 KM물량 을 포함한 46,000대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한다. KM을 포함한 TYM의 누적 판매 트랙터 대수의 증가는 향후 당사 트랙터 전용 작업기, 자율주행 패키지 등 고마진 제품 잠재 고객수 증가로 이어져 꾸준한 수익성 증가 또한 기대된다. 2022 년 TYM 농업기계부문 매출액은 전년 대비 39.8% 증가한 1조 1,220억원을 달성할 전망이다.

TYM  연간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TYM 연간 매출액, 영업이익률 추이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