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Economy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의 시대, 경기 침체의 조건과 향후 시나리오별 경로는?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의 시대, 경기 침체의 조건과 향후 시나리오별 경로는?

공급 회복이 더뎌 물가 불안이 하반기에도 이어질 경우 선진국은 긴축 가속화를 통해 총수요 억제에 나설 수밖에 없다. 연방기금 선물금리에 내포된 금리 흐름을 답습해 연말 3%를 상회하는 정책금리 인상이 나타날 경우 고용시장 둔화와 금융 위축으로 인한 디레버리징에 총수요가 꺾이게 된다. 물가 불안을 잠재울 수 있을 정도의 경기 위축이 필요하기에 경기 경착륙이 동반된다. 이 경우 경제 정상화 수요 유입 마무리에 고용 개선세가 둔화될 내년 하반기부터 경기 하강이 시작된다.

하반기 공급 회복 가능성이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불확실성에도 기타 산유국의 증산이 원자재 수급을 개선시키는 가운데 중국 코로나 사태가 완화되며 재화 생산의 정상화를 기대한다. 여기에 선진국의 경제 봉쇄 조치가 완화 되면서 이민 확대 등 고용 확대가 동반될 경우 수요 억제 없이도 물가 불안이 진정될 수 있다. 선진국 긴축은 균형금리 수준에서 중단돼 고용과 금융시장에 미칠 충격을 최소화하며 경제는 연착륙할 수 있다.

침체의 조건과 향후 경제 시나리오별 경로
침체의 조건과 향후 경제 시나리오별 경로

경제 상방 요인은 기존 베이스 시나리오에 공급 확대가 동반되는 경우다. 투자를 제약한 요인들이 사라지면서 경기에 대한 낙관적 판단 하에 지연된 투자가 유입 되거나 정부 주도 투자가 확대될 수 있다. 제도 보완 등으로 여성과 노령층 경제 활동참가율이 추가로 확대되면 예상보다 빠른 물가 안정으로 긴축이 되돌려질 수 있다. 공급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성장세도 확대된다.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