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Economy중국의 위안화 가치 안정성 제고를 위한 노력

중국의 위안화 가치 안정성 제고를 위한 노력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달러화 가치의 안정성에 대한 믿음이 일부 훼손됐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중앙은행은 막대한 돈풀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2020년 미국 재정수지 적자는 GDP 대비 20%에 육박하고 2021년에도 10%에 가까운 재정적자가 이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이전부터 GDP를 상회한 국가부채는 2020년 GDP 대비 130%를 웃돌았다.

미국과 중국 국가부채
미국과 중국 국가부채

연준은 금년 들어 총자산이 4.2조달러에서 7.4조달러로 3조달러 넘게 급증했다. 공공발 유동성 공급 확대에 미국 M2 증가율은 25%를 상회한다. 역대 가장 빠른 증가세다. 시중에 풀린 돈이 많아 달러화 가치에 대한 의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중국 역시 금년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해 확장 재정을 펼쳤다. 다만 조기 정상화 덕분에 2020년 재정적자는 GDP 대비 10% 초반에 그쳤으며 국가부채 역시 60% 수준에 불과하다. 향후 5년간 확장 재정 기조를 이어가더라도 국가부채 는 GDP 대비 100%를 하회해 재정건전성 우려가 덜하다.

미국과 중국 M2 유동성
미국과 중국 M2 유동성

미국과 달리 중국은 기축 통화가 아니기에 인민은행의 막대한 돈풀기가 어려웠다. 이에 M2 유동성은 전년동기대비 10% 내외에서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갔다.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