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Economy중국 채권, 다른 자산들과의 낮은 상관성과 낮은 변동성, 자산배분 측면에서 유리

중국 채권, 다른 자산들과의 낮은 상관성과 낮은 변동성, 자산배분 측면에서 유리

중국 채권은 기타 해외 채권에 비해 해외 익스포저가 적으며, 선진국의 통화 정책과 비교적 비동조화되는 특성을 가져 여타 자산과 상관관계가 낮은편이다. 이에 자산 배분 관점에서 중국 채권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면 리스크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있다.

국채, 회사채를 대상으로 글로벌, 중국, 미국, 유럽, 신흥국 간의 연간 투자 수익률 상관관계를 계산해보자(Bloomberg Barclays TR 지수 기준). 중국 국채의 경우 글로벌 국채 및 회사채, EM 국채 등과 음의 상관계수를 가진다. 중국 회사채 같은 경우도 글로벌 국채 및 회사채, 미국 회사채, EM 회사채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낸다. 위험자산인 EM 국채의 경우 글로벌 회사채 및 미국 회사채와 0.7~0.9 의 높은 양의 상관성을 가지며, EM 달러채 또한 글로벌, 미국, 유럽 회사채와 0.7~0.9에 달하는 상관성을 나타낸다.

각 채권 자산 연간 투자 수익률의 최근 10년 간 상관계수
각 채권 자산 연간 투자 수익률의 최근 10년 간 상관계수

한편 중국 채권 자체의 수익률 변동성도 여타 자산에 비해 낮다. 선진국과 신흥국 채권 모두 작년 코로나19 발발로 금리 급등락이 나타나며 변동성이 커졌다. 연율화 수익률의 변동성을 따져보면, 미국 국채는 2015~2019년 평균 4.8%에서 2020년 평균 5.1%로 올라왔고, 최근 금리 급등으로 인해 현재 변동성은 7.5%까지 급등했다. 이밖에 유럽 국채 및 회사채 또한 현재변동성이 6.1%, 8.3%에 달 하며, EM 국채 및 달러채는 4.7%, 5.7%다. 반면 중국 국채의 경우 여타 국채에 비해 금리 등락 폭이 크지 않아 현재 변동성이 약 2.2 %다.

결국 포트폴리오 내에 선진 채권이 이미 많으며, 또한 포트폴리오 전체의 변동성을 줄이고자하는 투자자라면 EM 국채 또는 달러채 지수를 포트폴리오에 포함하기보다는 중국 채권을 포함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다만 글로벌 주요 벤치마크 지수 내에 중국 비중이 향후 높아질 수 있으며, 대외 개방도 확대로 인해 대외 익스포저가 높아져 이와 같은 이점은 구조적으로 점차 줄어들 수 있다.

관련 기사 / 자료
준기축통화로 부상할 위안화, 선제적 자산 비중 확대 필요
RELATED ARTICLES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