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는 정유회사에 증산을 요구하며 동시에 이들이 폭리를 누리고 있다며 일명 횡재세 부과를 검토 중이다. 반면 정유회사는 증산이 부족한 이유가 과도한 규제와 비일관적인 정책 방향성이라며 응수한다. 낮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는 바이든 행정부가 중간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행보를 보였을 뿐 공화당의 반대로 실현 가능성도 낮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국 상원 론 와이든 금융위원장은 이윤율이 10%를 넘는 석유기업에 추가 연방세 21%를 물리는 법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NYSE와 나스닥에 상장된 정유회사 중 영업이익률이 10%를 넘는 회사는 126곳이었다. 유가 급등에 따른 수익성 상승분 중 어느정도를 초과 이익으로 간주할지도 모호한데 더 큰 문제는 실제 실행할 경우 최소 두 가지 경로로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한 가지는 정유사 이익 감소분 만큼 공급과 설비가동률이 낮아질 개연성이 높다는 점이다.

조세의 귀착(taxation) 측면에서 늘어난 세금 부담이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더 많이 전가될 수도 있다. 세금 부담은 부과 대상이 생산자인지 소비자인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요와 공급 중 어느쪽이 더 탄력적인지에 비례하기 때문에 오히려 소비자들이 더 높은 부담을 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이코 노미스트지는 불황과 호황을 반복하는 업종이 호황기에 이익이 몰수된다면 비즈니스 생존력을 잃게되어 에너지 공급 위기를 악화시킬 것으로 평가했다.
관련 기사 / 자료 – 웹3.0 주도권 경쟁이 시작되었다 |